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역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모임은 차이가 있다. 그래도 오프라인으로 모이는 것이 비교할 수 없는 유익이 있다. 오늘도 한해 계획을 계속 세우고 있다(세웠다). 계획만 세우는 것이 아니라 같
- 오늘의 말씀 2024년 1월 26일(금) 42 날이 밝으매 예수께서 나오사 한적한 곳에 가시니 무리가 찾다가 만나서 자기들에게서 떠나시지 못하게 만류하려 하매 43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다른 동네들
- Today
- Total
선교교육 연구원(IMER)
교회 연합회 (AIEP) 청년 수련회 본문
교회 연합회에 속한 교회들의 청년들 170명이 1박 2일 동안의 수련회를 개최하였다. 1시간 30분씩 5개의 강의가 있었고 첫날 오후에는 운동시간, 밤에는 각 교회의 장기 자랑 발표 시간이 있었다. 둘째 날은 주일 이어서 예배와 청년부 임원을 선출하는 시간을 가졌다.
뻬드로 전도사가 전체 준비와 진행을 맡았다. 진행이 잘 되도록 나는 뻬드로 전도사 뒤에서 도와주었다. 내가 강사와 주제 등 전체적인 윤곽을 제시해주고 자세한 것은 뻬드로 전도사가 직접 행사를 추진하였다. 준비하는 동안 참석하는 청년들의 숫자에서 어려움이 많았다. 처음에 40명을 예상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80명 정도 참석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수련회 일주일을 전에 참석자를 예상해 본 결과 136명이나 되었다. 이는 수련회 장소가 협소하고 차량도 더 필요하게 되어서 문제가 되는 것이었다. 수련회 3일 전 목사 모임에서는 150명 정도 참석할 것으로 숫자가 파악 되었다. 수련회를 출발하는 당일은 170명이 참석하였다. 이 과정 가운데 참석 숫자가 많아짐으로 어려움이 있었지만 그러나 잘 대처하고 해결해 나갈 수 있었다.
준비과정에서 내가 선교사로서 어느 정도 관여하고 도움을 주어야 하는 문제는 하나의 숙제였다. 전체 준비와 진행을 내가 주도적으로 담당한다면 일은 잘 진행되었을 것이고 나의 답답함도 그렇게 많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렇지만 나는 이 행사를 하면서 모든 과정을 현지인이 직접 앞장서서 진행하는 경험을 해 보기 원했다. 선교사가 앞에서 행사를 주도하고 진행한다면 현지인들은 앞으로도 이런 행사를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다. 현지인들이 수동적으로 참여한다면 이 행사의 주인은 선교사가 될 것이다. 선교사가 사역하는 동안에는 겉으로는 일이 잘 진행되는 것 같고 선교사의 사역도 눈에 보이는 결과가 있기에 스스로 만족할 것이다. 그러나 이 일은 분명히 현지인들의 일이요, 그들이 직접 경험하면서 해 나가야 할 일이었다. 그들이 주인이고, 선교사는 손님이고 돕는 자 일 뿐이다. 현지인이 주도권을 가지고 하게 하는 것이 내가 이곳에 있어야 할 이유이다. 선교사는 현지인을 세워야 하고 현지인이 훈련을 받고 경험하도록 해야 한다. 내가 직접 다 하는 것은 훈련이 아니다. 이 과정 가운데서 참아야 하는 일이 많아 내게는 쉽지는 않았지만 현지인들이 스스로의 일을 해 나갈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하는 행사였다.
재정은 식사와 차량 값이 대부분이었다. 장소는 돈을 아끼기 위해서 시골 교회를 빌렸는데 협소하고 잠자리가 좋지 않았다. 회비는 청년들 각자에게 미화 2불 50센트를 받았다. 뻬드로 전도사는 돈이 부족할 것 같아 내내 걱정을 했는데, 그 때마다 나는 최선을 다하라고 격려하였다. 뻬드로 전도사의 입장에서는 예산이 부족하면 다른 방법이 없었다. 나는 나중에 내가 부족분을 채워 준다고 말할 수도 없었고, 그렇다고 걱정하는 것을 알면서도 그대로 모른 척 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부족한 부분을 채워준다고 하면 자신들이 해야 할 노력을 안 할 가능성이 있고 그대로 놔두면 재정이 부족하기에 아예 일을 진행하려 하지 않을 수 있었다. 재정에 대해서는 최선을 다해 해보자는 말로 계속 격려를 하면서 준비를 하였다. 최종 결산은 그들의 힘으로 최선을 다했음에도 불구하고 140불 정도가 부족했다. 그것은 내가 나중에 조용히 보충을 하였다. 이 부족분은 200명이 참석한 1박 2일의 수련회로는 그렇게 많은 금액은 아니었다. 이들이 스스로 최선을 다해 행사를 진행 한 것이 무엇보다도 좋은 결실이다.
선교사가 돈을 주면서 처음부터 시작하는 것이 행사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쉬울 수도 있다. 그러나 재정도 결국은 현지인들이 독립을 해야 한다. 그러기에 그들이 스스로 일들을 진행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독립이 될 뿐 아니라 성장을 가져올 수 있다. 그 노력을 위해서 옆에서 격려하고 도와주는 것이 선교사인 나의 역할이라고 믿는다.
프로그램은 이틀 동안 강한 훈련이 되도록 진행했다. 강의는 모두가 선교사들이 맡았다. 변 선교사님은 이성교제에 대해서, 브라질 선교사 자매들은 구원의 확신과 신앙생활 기본에 대해서, 나는 비전과 리더십에 대해서 강의를 했다. 전체 진행 사회는 청년들이 알아서 진행 하였다. 나는 모든 진행은 현지인들이 하더라도 강의는 선교사가 꼭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선교사가 교육과 훈련에 도움을 주는 것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장소는 협소하고 불편했지만 모두가 진지하게 참석하여 강의를 잘 들었다. 모든 프로그램 후에 모두가 만족하였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많이 배우고 경험하며 하나님의 은혜를 누리는 수련회였다. (2200년/2기 사역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