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오늘의 말씀 2024년 1월 26일(금) 42 날이 밝으매 예수께서 나오사 한적한 곳에 가시니 무리가 찾다가 만나서 자기들에게서 떠나시지 못하게 만류하려 하매 43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다른 동네들
- 역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모임은 차이가 있다. 그래도 오프라인으로 모이는 것이 비교할 수 없는 유익이 있다. 오늘도 한해 계획을 계속 세우고 있다(세웠다). 계획만 세우는 것이 아니라 같
Archives
- Today
- Total
선교교육 연구원(IMER)
No 라고 할 수 없는 현실에서 어떻게 할 것인가? 본문
살다 보면 때로 NO 라고 말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할 때가 있다. 개인적으로 세 번의 경우가 있었다. 사람이 상처를 받을 까 보아 No를 못한다. 항상 좋은 말을 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그러나 해답은 분명하다. No를 할 때 결국 내게 유익한가? 내 단체에게 유익한가? 아니면 그 당사자에게 유익한가를 생각해야 한다. 당사자에게도 당장에 유익이 안 되더라도 나중에 결국 유익 되는 것이라면 No라고 해야 한다. 한걸음 나가서 그 No가 당사자를 위할 뿐 아니라 하나님 나라에 도움이 되는가가 최종 기준이 되어야 한다. 때로 No를 할 때 나 자신과, 내 단체와, 그 사람 본인에게 이익이 되기도 하지만 하나님께는 영광이 안 될 수도 있다. 인본적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기준을 하나님께 분명히 하도록 해야 한다. 이런 기준가운데 No를 할 수 있는 용기를 달라고 기도하는 것이 지도자에게 필요할 것이다. 마음을 바꾸시고 일을 행하시는 분은 결국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예수님은 밀 이삭을 자르는 제자들을 옹호하셨다. 결국 율법은 사람을 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 사람은 하나님께 영광돌리도록 지어진 사람이기에 하나님께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것이다. 우리의 기준은 (율)법, 사람 생명, 하나님께 영광이라는 것을 확인해야 할 것이다(2011.5.21(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