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오늘의 말씀 2024년 1월 26일(금) 42 날이 밝으매 예수께서 나오사 한적한 곳에 가시니 무리가 찾다가 만나서 자기들에게서 떠나시지 못하게 만류하려 하매 43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다른 동네들
- 역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모임은 차이가 있다. 그래도 오프라인으로 모이는 것이 비교할 수 없는 유익이 있다. 오늘도 한해 계획을 계속 세우고 있다(세웠다). 계획만 세우는 것이 아니라 같
- Today
- Total
목록선교와 영성/영성 자료 (76)
선교교육 연구원(IMER)
우리에게 잘 알려진 기도는 ‘주기도문’이다. 그런데 ‘주의 기도’라고 할 때 단어가 주는 오해가 있다. 예수님이 기도하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주의 기도는 예수님께 필요한 기도가 아니다. 주기도문 중 ‘죄사함의 기도’는 예수님에게 전혀 해당되지 않는다. 그러니까 정확히 말하면 주의 기도가 아니라, ‘주께서 가르쳐주신 기도’라고 할 수 있다. ‘예수 기도’도 마찬가지다. 신약성경 복음서에 보면 바디매오라는 맹인이 예수님이 지나간다는 소리를 듣고, “예수 선생님이여, 저를 불쌍히 여겨주세요”라고 기도했다. 그리고 그 기도는 응답되었다. 열 명의 나환자가 예수님이 지나간다는 소식을 듣고 “예수 선생님이여, 우리를 불쌍히 여겨주세요”라고 기도했고, 그 기도도 응답되었다. 바리새인과 세리 두 사람이 성전에 ..
과거 수도원장을 지낸 분들 가운데 마르틴 루터에게 영향을 준 버나드(끌레르보에 베르나르도)라는 분이 있습니다. 이 분이 산 꼭대기에 있는 수도원의 원장으로 있을 때 수도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한 젊은이가 수도원에 도착했습니다. 헐레벌떡 오는 청년에게 “어떻게 오셨나요?”라고 묻자 청년은 “수도사가 되고 싶어서 왔습니다.” 라고 말합니다. 버나드는 아직도 숨이 가라앉지 않는 청년을 지그시 바라보다가 이런 질문을 했습니다. “숨이 많이 가쁘신가 봐요, 당신은 이 산을 올라오는 동안 무엇을 보셨나요?” 그러자 청년은 “저는 원장님을 만나려는 생각 외에는 아무 것도 생각하지 않고 올라왔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버나드가 혀를 끌끌 차면서 이렇게 말했답니다. “그럼 당신은 산을 올라오는 동안 이 산에 걸려 있..
예수님을 따르는 삶의 첫 걸음은 경청이다. 그 다음은 ‘내 것’을 등지는 걸음이다. 어떤 일을 결정할 때마다 우리는 스스로 이렇게 물을 수 있다. “나는 생존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이 일을 행하는 것인가, 아니면 신뢰 가운데 행하는 것인가?” 우리는 자신이 언제 두려움으로 행하고 언제 사랑으로 행하는지 알고 있다. 항상 사랑을 선택하고 두려움 때문에 행동하지 않는 것, 이 역시 작은 변화다. 우리의 말이나 생각의 배후가 두려움이 되어서는 안 된다. 두려움은 품고 생각할수록 더 커지는 법이다. 예수님을 따르려면 두려움에서 방향을 틀어 사랑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언제나 주님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 두려움을 등지고 사랑이신 그분께로 가야 한다. 부요하신 주님을 바라보아야 한다. 예수님은 우리 삶을 고달프게 ..
결혼은 두 사람이 서로 사랑하여 서로에게서 하나님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다. 결혼은 하나님이 두 사람을 깊이 사랑하시기에 그들이 서로를 하나님 임재의 살아 있는 반사체로 알아보는 것이다. 하나님이 우리를 지극히 사랑하시기에 부부가 함께 다음 사실을 깨달을 수 있으므로 결혼은 참으로 신비다. 즉 서로를 향한 부부의 헌신을 통해 하나님의 임재가 지금 여기에서 드러날 수 있다. 우리가 부부 관계에 충실할 수 있음은 마음이 변하지 않거나 이혼하지 않거나 더없이 호흡이 잘 맞거나 삶의 목표가 같기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이 처음 사랑으로 두 사람을 연합시켜 주시기 때문이다. 다르게 표현해 보자. 예수님이 계시해 주신 사랑은 인격체의 관계다. ‘퍼슨(person)'이라는 영단어는 라틴어의 두 단어에서 유래했는데, ‘페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