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역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모임은 차이가 있다. 그래도 오프라인으로 모이는 것이 비교할 수 없는 유익이 있다. 오늘도 한해 계획을 계속 세우고 있다(세웠다). 계획만 세우는 것이 아니라 같
- 오늘의 말씀 2024년 1월 26일(금) 42 날이 밝으매 예수께서 나오사 한적한 곳에 가시니 무리가 찾다가 만나서 자기들에게서 떠나시지 못하게 만류하려 하매 43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다른 동네들
- Today
- Total
목록선교와 영성/영성 자료 (76)
선교교육 연구원(IMER)
잔뜩 화가 난 큰 아들이 아버지에게 불평을 늘어놓은 것은 놀랄 일이 아닙니다. “...나에게는 친ㄱ루들과 함께 즐기라고, 염소 새끼 한 마리도 주신 일이 없습니다. 그런데 창녀들과 어울려서 아버지의 재산을 다 삼켜버린 이 아들이 오니까 그를 위해서는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습니다.” 잘 들어보십시오, 큰아들이 느끼는 아픔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지 않습니까? 큰 아들은 기쁨을 주체하지 못하는 아버지를 보면서 자존감에 깊은 상처를 받았습니다. 화가 치민 나머지 돌아온 탕자를 동생으로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이 아들’이란 표현만 가지고도 맏이가 아버지는 물론이고 동생과도 거리를 두고 있음을 충분히 집작할 수 있습니다. 큰아들 눈에는 현실감을 잃어버린 채 처음부터 끝까지 터무니 없는 장면을 연출하고 있는 아버지와..
큰 아들이 이야기는 그 모든 고민스러운 질문들을 새로운 관점에서 보게 합니다. 하나님이 탕자를 맏아들보다 더 사랑하셨던 것은 아니라는 것을 명쾌하게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비유를 가만히 들여다 보면 아버지는 작은아들에게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큰아들한테도 달려갔습니다. 그리고 안으로 들어가자고 권하며 간곡히 말했습니다. “애야, 너는 늘 나와 함께 있지 않느냐? 또 내가 가진 모든 것은 다 네 것이 아니냐?” 관심을 두고 가슴 깊이 간직해야 할 말씀이 바로 여기 있습니다. 하나님은 “내 아들!”이라고 부르십니다. ‘아들’에 해당하는 말로 ‘테크논teknon’이라는 헬라어를 사용했습니다. 조제프 A 피츠마이어에 따르면 이 단어는 ‘더할 나위 없이 깊은 애정’을 담은 호칭입니다. 직역하자면 ‘내 아이야’쯤으로 ..
누가복음 15장의 탕자의 비유는 ‘탕자들의 비유’라고 부르는 것이 정확할지 모릅니다. 자유와 행복을 찾아 집을 떠났다가 먼 지방에서 길을 잃은 작은아들뿐만 아니라 고행에 머물던 아들 역시 방황하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겉으로는 어른이 시키는 일을 성실하게 잘해낸 착한 아들처럼 보이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아버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채 엉뚱한 곳을 헤매고 있었습니다. 부친을 잘 섬기고 하루하루 열심히 일하며 주어진 책임을 다했지만 큰아들은 날이 갈수록 불행하고 자유하지 못했습니다. 맏아들에게는 부모의 기대에 맞추어 살며 그 뜻을 잘 따르고 효도하는 자식이라는 소릴 듣고 싶어 하는 특유의 욕구가 있는지도 모릅니다. 첫째들은 칭찬을 받고 싶어 합니다. 아버지 어머니를 실망시키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한편으로는 누..
잃어버린 게 무엇이든, 돈이든, 친구든, 명예든, 자존감이든, 내면의 기쁨과 평안이든(어느 하나든, 그 전부든) 상관없이 아버지의 자신이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습니다. 당자는 중얼거렸습니다. “내 아버지의 그 많은 품꾼들에게는 먹을 것이 남아도는데, 나는 여기에서 굶어 죽는구나, 내가 일어나 아버지에게 돌아가서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 앞에 죄를 지었습니다. 나는 더 이상 아버지의 아들이라고 불릴 자격이 없으니, 나를 품꾼으로 삼아 주십시오’라고 말씀드려야겠다.” 속으로 그 말을 곱씹으며 탕자는 발길을 되돌려 먼 지방을 떠나 집으로 향했습니다. 작은 아들이 고향으로 돌아온 사건의 의미는 “나는 더 이상 아버지의 아들이라고 불릴 자격이 없으니”라는 표현에 모두 함축되어 있습니다. 감히 자식이란 말을 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