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역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모임은 차이가 있다. 그래도 오프라인으로 모이는 것이 비교할 수 없는 유익이 있다. 오늘도 한해 계획을 계속 세우고 있다(세웠다). 계획만 세우는 것이 아니라 같
- 오늘의 말씀 2024년 1월 26일(금) 42 날이 밝으매 예수께서 나오사 한적한 곳에 가시니 무리가 찾다가 만나서 자기들에게서 떠나시지 못하게 만류하려 하매 43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다른 동네들
- Today
- Total
선교교육 연구원(IMER)
기쁨과 즐거움 본문
인간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하는 일이(일로 인해서) 기쁨과 즐거움이 되어야 한다. 만약 어떤 사람이 직장에서 일을 하는데 기쁨과 즐거움이 없다면 비록 월급을 많이 받는다고 할지라도 그 인생은 행복한 인생이 되지 못한다.
그러기에 현재 하는 일을 기쁨과 즐거움으로 해야 한다. 기쁘고 즐거우면 힘들지 않다. 기쁘고 즐거우면 시간이 잘 간다. 기쁘고 즐거우면 사는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우리가 하는 일(직장, 사업, 교회, 가정에서의 일)이 즐겁지가 않다. 왜 그런가? 사람에 따라 이유가 다를 것이다. 다만 공통적으로 가장 큰 원인은 인간관계에 있다고 본다. 인간관계가 힘들기에 하는 일에 즐거워할 수 없다. 세상 어느 곳에서라도 인간관계를 힘들게 하는 사람이 있다. 굳이 힘들게 하는 사람이 아니라도 좋은 관계를 맺는 것은 쉽지 않다. 그래서 일이 힘든 것이 아니라 관계가 힘들다고들 말한다.
그러면 어떻게 인간관계를 잘 맺을 수 있는가? 단순하게 답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다만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알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인간관계는 저절로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내가 잘못하지 않는다고 해서 잘 되는 것도 아니다. 인간관계를 잘 해 보려는 노력에 따라 관계가 좋아지는 것이다. 그 노력이 때로는 손해와 희생과 고난과 억울함이 따를 수도 있다. 그래서 좋은 인간관계를 맺고자 할 때, 내가 먼저 손해 보겠다는 마음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십자가의 정신이다. 십자가는 인간을 위해 예수님이 목숨을 내려놓은 도구이다. 자신을 희생시킨 도구이다. 그러므로 자신을 희생하는 것만이 좋은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는 가장 귀한 도구가 된다. 희생하겠다는 결단, 손해보겠다는 마음만 먹으면 반드시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실제로 손해를 보아도 당연한 것처럼 여긴다면 어떤 사람과도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기독교는 십자가의 종교이다. 십자가를 매고 산다는 의미는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내가 먼저 희생한다는 의미다. 그러나 희생이 성육화되어 우리 삶 가운데 일어나지 않을 때는 좋은 인간관계를 맺지 못하게 된다. 결국 인간관계의 문제는 다른 사람의 문제이기보다 나의 문제이다.
자신이 희생할 수 있는 사람은 자신의 정체감이 확고한 사람이다. 자신감이 있는 사람이다. 건강한 성품을 가진 사람이다. 성숙한 사람이다. 그러기에 희생하기를 어려워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자신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은 자신을 훈련해야 한다.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찾아야 한다. 그 과정은 길고도 긴 시간이다. 어쩌면 주님 오실 때까지 그 일을 해야 할지도 모른다. 그러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기도와 말씀 중심의 삶을 사는 것이다. 기도하지 않고 말씀으로 변화되지 않으면서 건강한 자신을 만들어 갈 수는 없다. 당연히 다른 사람과의 관계도 잘 맺을 수 없다. 그러면 삶의 기쁨과 즐거움은 사라진다. 하나님을 섬기는 것마저도 율법적이고 의무적이며, 억지 신앙이 된다. 그러기에 끊임없이 하나님의 은혜와 긍휼을 구하면서, 그 가운데 기도와 말씀 중심의 삶의 끈을 붙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