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역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모임은 차이가 있다. 그래도 오프라인으로 모이는 것이 비교할 수 없는 유익이 있다. 오늘도 한해 계획을 계속 세우고 있다(세웠다). 계획만 세우는 것이 아니라 같
- 오늘의 말씀 2024년 1월 26일(금) 42 날이 밝으매 예수께서 나오사 한적한 곳에 가시니 무리가 찾다가 만나서 자기들에게서 떠나시지 못하게 만류하려 하매 43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다른 동네들
- Today
- Total
목록선교와 영성 (515)
선교교육 연구원(IMER)
구약의 예언서는 지루하리만큼 반복되는 내용이 계속된다. 예언서를 기록한 선지들의 대부분이 똑같은 내용을 반복하고 있다. 반복되고 강조되는 내용은 “우상을 섬지지 말라”와 “우상이나 자신을 의지하지 말고 하나님을 의지하라”하는 것들이다. 반복되는 말씀을 보다보면 지루하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보면 그ㄹ만한 이유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것은 구약의 하나님의 백성인 이스라엘 백성들이 외형적으로는 하나님을 섬긴다고 하면서 내면으로는 우상을 섬기고 의지하고 자신을 자랑하는 삶을 계속하였기 때문이다. 이런 구약 이스라엘 백성들의 모습을 오늘날과 비교해보면, 오늘날 그리스도인의 모습과 많이 흡사하다. 겉으로는 그리스도인이라고 교회에 나가지만 내면으로는 세상의 우상, 즉 돈이나 권력을 의지하고 자랑하고 섬길 뿐 아니..
인간은 생각하는 존재이다. 잠시 잠깐의 순간에도 수많은 생각을 한다. 사람이 하루에 얼마만큼의 생각을 하느냐는 것은 누구도 통계를 낼 수 없을 만큼 많다. 인간이 통계를 낼 수 없는 것 중의 하나가 생각의 숫자와 내용일 것이다. 그렇게 많은 생각을 하면서 그 생각을 제대로 사용하고 산다면 그런 사람이 행복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하는 생각 중에 유익하고 창의적인 생각이 많은데 그것을 그냥 놔두면 그대로 지나간다. 그러면 그 많은 생각을 유용하게 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그것은 잠간 스쳐지나가는 생각을 메모하는 것이다. 지나가는 생각들을 메모해 놓으면 그 생각을 필요하게 사용할 수 있다. 내가 박사 과정에 공부를 하면서 첫 시간에 논문을 쓰는 방법에 대한 얘기를 들었다. 그 중에 동의하기 어려운 말을..
지금터 30년 전 전도사로 일할 때 주일학교 담당 부장 집사님께서 어느 날 말씀하셨다. 부장님의 지인 중에 한 사람이 젊은 나이에 죽게 되어 부장님이 큰 충격을 받아서 욥기를 읽으면서 위로를 받았다는 말씀이었다. 이처럼 신자들은 고난이 오거나 이해하기 힘든 어려움에 처했을 때 욥기를 통해 위로를 받고 힘을 얻는다. 왜 욥기가 고난 중에 위로가 될까? 욥은 하나님과 사람 앞에서 의인이었다. 욥의 고난은 의인이었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욥이 의롭지 않았다면 사단의 시험은 없었을 것이다. 욥의 고난을 생각하면서 우리가 당하는 고난도 그리스도인이기 때문에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흔히들 고난은 ‘벌’이나 하나님의 ‘심판’으로 생각한다. 뭔가 잘못했기에 고난을 당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고난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인..
여러 종류의 하나님의 은혜가 있다. 1. 믿음을 통한 구원을 주시는 은혜가 있다. 은혜로 구원, 즉 생명과 영생을 받았고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다. 2. 매일의 삶에 함께 하시는 은혜가 있다. 구원받은 자들은 매일 하나님께서 함께 하심을 인정하며 경험하며 산다. 하나님께서 매일 함께 하신다는 것 자체가 은혜다. 하나님이 함께 하시는 것보다 더 큰 은혜는 없다. 오늘도 하나님이 함께 하심이 은혜다. 하나님이 함께 하시는 은혜만 있으면 오늘의 삶이 힘들어도 행복할 뿐이다. 3. 고난을 통해 경험하는 은혜가 있다. 고난도 은혜다. 고난은 결코 하나님께서 주시는 벌이나 심판만은 아니다. 고난도 하나님의 선하신 뜻 가운데 있다. 비록 그 고난이 죄의 벌로 임한 고난일지라도 그것도 은혜다. 왜냐하면 그 고난을 통해(..